전체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이벤트&뉴스

<법송 스님의 자연을 담은 밥상> 발간

2015.10.27 | 조회 : 6,203 | 댓글 : 0 | 추천 : 0

제철 식재료! 영양 과잉 없는 맛있는 절밥!

집밥처럼 쉬운 법송 스님의 레서피

<출판사 리뷰>

 

절에 다니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절밥은 마음 한구석 추억으로 자리하고 있을 것이다. 절밥이라 불리는 사찰 음식은 불교의 수행이 이루어지는 절의 식사를 일컫는 말이지만, 역사와 더불어 발전하면서 단순히 절밥의 말뜻을 넘어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소박하면서도 영양 과잉이 없는 건강식, 청정한 제철의 자연을 담은 자연식, 육류가 일절 배제된 채식 등 다양한 의미를 동시에 함축하기에 이르렀다.

자연 순리에 맞춰 제철 식재료를 사용하고, 별다른 조리법 없이 섭리와 이치에 따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법송 스님의 음식은 매일 먹는 집밥으로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추천사>

 

몇 해 전 이른 봄에 대전 영선사에서 법송 스님이 차려주신 정갈한 밥상을 받았습니다추운 철이라 식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재여 두셨던 재료에 솜씨를 더하여 냉이국, 김자반, 비지장, 더덕튀김 등 차려주셨고, 식후에는 조청, 집장을 배운 그날참 행복하고 가슴 벅차서 잠을 못 이룬 기억이 납니다스님의 자연 친화 밥상을 책으로 만나니 더욱 기쁩니다. 이 책을 열면 스님의 익숙한 손놀림 보이고 친절한 설명이 들리는 듯 합니다.” 한복진(전주대 한식조리학과 교수)  

 

전통사찰음식은 음식 본연의 향취와 맛을 충실하게 음미하게 하면서도 고결한 음식입니다. 동국대학교에서 배움과 가르침을 함께 해오면서 소중한 인연을 맺어온 법송 스님의 음식철학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사찰음식의 맛과 멋을 알게 되고, 마음과 몸의 건강도 지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심열(동국대학교 교수, 전통사찰음식연구소장)

 

 

식재료 손질은 물론 조리 과정 하나하나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찰 음식 조리법을 통해 쓰고 좋지 않은 맛은 줄이고, 천연의 단맛과 감칠맛을 높이면서 재료 본연의 맛을 낼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면서 폭넓은 요리 철학을 갖게 되었습니다.” 구진광(MYK 총괄 셰프)

 

<지은이 소개>

대전에 위치한 영선사에서 수행 중인 법송 스님은 전통 사찰 음식에 조예가 깊었던 성관 큰스님에게 음식을 배웠다. 동국대, 영선사,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서 운영하는 사찰음식교육관 향적세계 등에서 강의를 통해 사찰 음식과 그 의미를 알리고 있다. 그뿐 아니라 사단법인좋은 벗들의 모임이사를 맡아 일반 시민을 사찰로 초청해 음식을 대접하고 독거노인에게 찾아가 사찰 음식을 전하는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더 많은 이들과 사찰 음식을 나누고 그 맛과 정신을 알리고 있다.

 

 

 


<목차>

인사말

맛내기 비법

 

국수댕이된장국

쑥털털이

냉이전

묵은지찜

감자구이무침

봄동나박김치

진달래벼룩나물무침

머위장아찌

더덕잣죽

취나물두부밥

고수전

쑥국수

참가죽나물겉절이

머윗대들깨탕

죽순밥

두릅매실지

초피잎무침

돌미나리김치

두릅전

생고사리감자찌개

 

여름

배냉면

방아잎볶음

감자냉채

고추잡채

가지찜

얼갈이배추된장찜

옥수수강낭콩범벅

초피열매와 초피잎부각

아욱전

상추구이

냉팥죽

인삼찜

호박잎부침

옥수수죽

연잎밥

가지만두

박나물볶음

무짠지냉국

두부애호박국

방아장떡

가을

모둠버섯밥

마구이

산초표고버섯전

애동고추볶음

산초장아찌

뿌리채소무침

토란전

두부버섯조림

토란대들깨볶음

우엉묵나물밥

장아찌주먹밥

현미고사리전

청각무침

고들빼기무침

잡곡죽

옹심이된장미역국

우엉튀김무침

표고버섯감기국

겨울

무죽

연근무침

비지탕

메밀김치전

시래기콩볶음

김튀김무침

물미역전

우엉들깨탕

무만둣국

호두죽

무전

모둠나물찜

봄동쌈과 서리집장

김장 편

배추김치

무섞박지김치

배추우거지김치

갓김치

호박지김치

우엉김치

무말랭이김치

무청김치

부각 편

방아잎부각

감자튀각

가죽튀각

김부각

들깨송이부각

한줄 답변을 남겨주세요.